2025 상생페이백(상생소비지원금) 완전정리
상생페이백은 2025년 9~11월 카드사용액이 2024년 월평균 대비 늘어난 만큼의 20%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돌려주는 소비 환급 제도입니다. 월 최대 10만원, 3개월 합산 30만원 한도이며, 지급일은 각 사용월의 다음 달 15일입니다. 전통시장과 동네 가맹점에서 바로 쓸 수 있어 체감 혜택이 크고, 신청을 한 번만 해도 기간 전체가 자동 반영되므로 놓치지 않는 것이 핵심입니다.
📌 핵심 요약
- 무엇 : 9~11월 카드소비 증가분의 20%를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월 10만 원, 최대 30만 원)
- 누가 : 만 19세 이상이며 2024년 카드 사용 실적이 있는 국민·국내거주 외국인
- 언제 : 9.15~11.30 신청(첫 주 5부제), 지급은 사용월 다음 달 15일
- 어디서 : 전용 홈페이지 상생페이백. kr + 디지털 온누리 앱
- 주의 : 대형마트·백화점·온라인·PG결제 일부 등 불인정 업종은 실적 제외
👥 신청대상·제외 항목
대상은 2006.12.31. 이전 출생으로 2024년에 신용·체크카드 실적이 있는 사람입니다. 해외 사용액과 민생회복 쿠폰 등 타 행사로 이미 보전받은 금액은 제외되며, 세금·공과금·보험료 같은 비소비성 지출도 실적에서 빠집니다. 가족카드는 기본적으로 본인 명의 카드 실적 기준으로 합산되지만, 카드사 별 정책에 따라 기준이 다를 수 있으니 신청 단계에서 고지된 약관을 확인하세요.
대형마트·백화점(아울렛 포함), 기업형 슈퍼마켓(SSM), 대형 전자판매점, 온라인/모바일 쇼핑몰, 유흥업종, 보험·금융 수수료, 교통·통신요금 자동이체 등.
🗓️ 신청기간·5부제 운영
- 신청기간 : 2025.9.15(월) 09:00 ~ 11.30(일) 24:00
- 5부제 : 첫 주만 운영(출생연도 끝자리 기준). 이후 자유 신청 가능
- 점검시간 : 23:30~익일 00:30 신청 불가
📝 신청방법(모바일·현장)
- 전용 누리집 접속 — 상생페이백 홈페이지 접속 약관 동의 및 본인확인
- 신청정보 입력 — 이름·주민번호 뒷자리 인증, 연락처, 환급수령용 디지털 온누리 계정 연동
- 완료 알림 — 지원대상 여부가 알림톡으로 안내
- 현장 보조 — 온라인이 어렵다면 전통시장상인회·소상공인지원센터·지방중소벤처기업청에 비치된 신청도우미를 이용
📐 환급 계산법·예시
계산의 기준은 2024년 월평균 카드사용액입니다. 2025년 9~11월 각각의 월 사용액이 이 평균보다 많으면, 그 증가분의 20%를 환급합니다. 월별 환급 상한은 10만원입니다.
구분 | 금액 | 설명 |
---|---|---|
2024년 월평균 | 70만원 | 전년도 12개월 총액 ÷ 12 |
2025년 9월 사용 | 110만원 | 증가분 40만원 → 환급 8만원(20%) |
2025년 10월 사용 | 130만원 | 증가분 60만원 → 환급 10만원(상한 적용) |
2025년 11월 사용 | 115만원 | 증가분 45만원 → 환급 9만원 |
💳 지급일·수령 형태
- 9월 사용분 → 10월 15일
- 10월 사용분 → 11월 15일
- 11월 사용분 → 12월 15일
지급수단은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만 제공되며, 앱 내 지갑으로 자동 충전됩니다. 유효기간은 지급일로부터 5년이라 여유롭게 사용할 수 있지만, 분실·계정변경 시 복구가 어려울 수 있어 계정 보안을 꼭 챙기세요.
🏪 사용 가능처·제한처
사용 가능처 | 사용 불가 |
---|---|
전통시장, 동네마트, 식당·카페, 분식·빵집·떡집, 의류·안경·미용실, 학원, 약국·의원, 영화관·놀이시설, 세탁소·헬스장·카센터 | 대형마트·백화점(아울렛 포함), 기업형 슈퍼마켓, 대형 전자제품직영, 온라인 전자상거래, 보험·환금성 업종, 공과금 자동이체 |
소상공인이 독립 운영하는 임대매장, 일부 면지역 하나로마트(유사업종 없는 매장), 비대기업 프랜차이즈 가맹점 | 대기업 프랜차이즈 직영점, 키오스크 PG 직접결제만 되는 테이블오더 시스템 등 정책상 불인정되는 결제 |
🎁 상생소비 이벤트(복권)
9.15(월)~10.12(일) 사이 상생페이백을 신청하면 상생소비복권에 자동 응모됩니다. 1등 200만원(10명), 2등 20만원(50명), 3등 10만원(600명), 4등 1만원(1,365명) 등 총 2,025명에게 디지털 온누리가 추가 지급됩니다. 수도권·비수도권 구분 없이 누적 5만원 이상 카드결제가 있으면 추첨 대상이 됩니다.
🧭 자주 틀리는 포인트·꿀팁
- 증가분 산정은 월별 비교입니다. 한 달만 많이 써도 그 달의 환급은 받을 수 있습니다.
- 온라인몰·대형마트 결제가 섞이면 증가분 자체가 줄어듭니다. 가능하면 동네 가맹점 위주로 소비하세요.
- 카드 분실·교체를 해도 개인 식별 기준으로 집계되므로 신청 정보만 정확하면 누락될 가능성이 적습니다.
- 디지털 온누리는 양도 불가. 가족에게 보내려면 본인 결제 후 현금 정산 방식이 현실적입니다.
- 지급일(매월 15일)에 앱 알림이 안 뜨면, 가맹 미사용 또는 증가분 0원 가능성이 큽니다. 결제내역·업종을 다시 점검하세요.
❓ Q&A
Q1. 현금으로 받을 수 있나요?
아니요. 상생페이백은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만 지급됩니다.
Q2. 외국인도 가능한가요?
국내 거주 중이며 2024년 카드 사용 실적이 있으면 가능합니다.
Q3. 가족카드 사용액은 합산되나요?
원칙은 개인(신청자) 기준 합산입니다. 다만 카드사·발급 형태에 따라 상이할 수 있어 신청 화면의 안내를 확인하세요.
Q4. 온누리 가맹점은 어디서 확인하나요?
디지털 온누리 앱 또는 전통시장 홈페이지에서 지역·업종별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는 계산대에 온누리 사용 가능 스티커가 부착된 경우가 많습니다.
Q5. 5부제 날짜를 놓치면 못 하나요?
첫 주 이후에는 누구나 자유 신청입니다. 다만 11.30 24:00 마감은 꼭 지켜야 합니다.
Q6. 환급 상한에 걸리면 남는 증가분은 다음 달로 이월되나요?
이월되지 않습니다. 각 월별로 최대 10만 원까지만 지급됩니다.
Q7. 키오스크 결제는 왜 불인정일 수 있나요?
일부 테이블오더·키오스크는 PG 직결 구조로 온누리·가맹 판별이 곤란해 정책상 제외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직원 결제로 전환하면 인정되는 매장도 있습니다.
🔗 같이 보면 좋은 글
※ 본 글은 공개된 제도 안내를 바탕으로 핵심만 정리한 콘텐츠입니다. 운영 부처 공지, 가맹·지급 기준은 지역·시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신청 전 상생페이백 누리집과 디지털 온누리 앱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