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도우미 신청 가이드: 연 10일·국고 70% 지원 실전 체크리스트(2025 최신)
영농도우미 지원 총정리
지원대상·신청방법·지원금(1일 84,000원 기준 70%)·필요서류
사고·질병 등으로 일손이 부족한 농가에 영농도우미를 연결해 농번기 공백을 줄이고 농가 소득 안정을 돕는 제도
지역농협에서 수시 접수합니다.
영농도우미 지원은 농업인이 사고·질병·격리 등으로 일손이 급히 필요할 때 도우미 인력을 연결하고, 비용의 상당 부분을 국고로 보조하는 사업입니다. 농가 입장에서는 단기간에 숙련 인력을 투입할 수 있고, 행정 절차는 지역농협 창구를 통해 비교적 간단합니다. 아래 표와 절차만 확인해도 신청 준비가 끝나도록 실제 현장에서 묻는 질문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
1) 핵심 요약(표)
항목 | 내용 |
---|---|
담당부처 |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사회서비스과 |
신청창구 | 지역농협 수시 접수(전화 예약 후 방문 권장) |
지원주기 | 수시(농가 사유 발생 시) |
가구당 한도 | 연 10일 이내 지원 |
지원단가 | 도우미 1일 인건비 84,000원 기준, 70%(58,800원) 국고 지원 + 30% 자부담 |
제공유형 | 프로그램/서비스(도우미 인력 연계) |
2) 지원대상·제외·우선 고려(표)
구분 | 세부 기준 |
---|---|
지원대상(공통) | 사고를 당했거나 질병 발생으로 영농활동에 곤란이 있는 소유농지 5ha 미만의 농업인 |
사유 예시 | ① 사고·질병으로 2주 이상 진단 또는 3일 이상 입원한 경우 ② 제1~2급 법정감염병(코로나19 포함) 확진자 접촉·격리 통보를 받은 경우 ③ 4대 중증질환(암, 심장질환(고혈압 제외), 뇌혈관질환, 희귀난치성질환)으로 최근 6개월 내 동일질환 통원치료를 받은 경우 |
우선 고려 | 고령농·취약농가, 영농 공백이 수확량에 직접 영향이 큰 품목(과수·채소 등) 우선 배정 가능 |
제외·유의 | 서류 미비, 허위 진단서, 농업 외 사유, 면적 기준 초과 등은 반려될 수 있음 |
3) 지원내용·지원단가·자부담
- 지원범위 : 도우미 인력을 배정하여 파종·정식·수확·운반 등 주요 영농활동을 대행/보조.
- 지원단가 : 1일 인건비 84,000원 기준 70%(58,800원) 국고, 30% 자부담.
- 한도 : 가구당 연 10일 이내. 농번기 집중 사용을 권장(연속 사용 가능 여부는 지자체·농협 운영지침 따름).
- 배정 방식 : 지역농협 도우미 인력풀에서 우선 배정, 부족 시 인근 지역 연계.
4) 신청방법·절차·필요서류
- 사전 문의 : 주소지 지역농협에 전화로 가능 여부·대기 현황 확인
- 현장 접수(수시) : 신청서 작성, 사유·기간·작업 내용 기재
- 서류 제출 : 신분증, 진단서·입퇴원확인서 또는 격리통보서, 농지면적 확인 자료 등
- 배정·통보 : 도우미 인력 배정 및 일정 확정(문자/전화)
- 작업·정산 : 작업 확인서 작성 → 국고분 정산, 자부담분 납부
구분 | 세부 내용 |
---|---|
필요서류(예시) | 신분증, 농지원부·농지대장 등 면적 증빙, 진단서/입퇴원확인서 또는 격리 통보서, 통장 사본 |
접수 장소 | 주소지 지역농협 영업점(복지·사회공헌 담당) |
처리 기간 | 도우미 수급·시기 따라 상이(평균 1~3일 내 배정, 농번기 지연 가능) |
정산 방식 | 국고 70% 자동 정산, 자부담 30%는 농가 납부(카드/계좌 등 지점 안내) |
5) 현장 팁·자주 틀리는 포인트
- 증빙 시점 : 진단일·입원일과 신청일 간격이 길면 보완 요구가 옵니다. 사유 발생 즉시 문의하세요.
- 작업 범위 : 수확·정식 등 핵심 공정 위주로 신청하면 배정이 빠릅니다.
- 면적 기준 : 5ha 미만 확인 서류 누락이 가장 흔한 반려 사유.
- 농번기 분산 : 연 10일 한도를 수확기 5일 + 파종기 5일처럼 분할하면 체감효과가 큼.
- 안전 : 사다리·예취기 등 위험 공정은 2인1조로 계획하고 보호장비 착용 지침을 따르세요.
6) 자주 묻는 질문(Q&A)
Q1. 꼭 지역농협에만 신청하나요?
네. 사업 운영·배정은 지역농협이 맡습니다. 전화로 대기 상황을 확인하고 방문하세요.
Q2. 도우미가 바로 올 수 있나요?
농번기에는 대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사유 발생 즉시 접수하고 일정은 유연하게 제시하면 배정이 빨라집니다.
Q3. 감염병 격리 통보만 있어도 되나요?
의료기관·보건소 격리 통보가 있으면 대상에 해당합니다. 통보서 사본을 지참하세요.
Q4. 10일을 연속 사용해도 되나요?
가능하나 지역 운영지침과 수급 상황에 따릅니다. 분할 사용을 권장합니다.
Q5. 자부담은 어떻게 내나요?
작업 확인 후 30%를 납부합니다. 지점별 카드·계좌 등 납부수단은 안내에 따르세요.
Q6. 소규모 텃밭도 가능?
사업 취지는 농업경영 지원입니다. 면적·경영사실을 증빙해야 하며, 단순 개인 텃밭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7) 문의처·근거법령
- 농협중앙회 지역사회공헌부 02-2080-5424
※ 지역·시기별 세부 기준은 지자체·농협 운영지침에 따라 일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실제 접수 전 지역농협에 확인하세요.
2025.09.17 - [분류 전체 보기] - 만 15~87세 농업인 필수! 농업인안전보험 국고지원 50~70% 받는 법|대상·연령·서류·절차 한 번에(2025)
2025.09.17 - [분류 전체 보기] - 고혈압·당뇨 등록만 해도 혜택! 65세 이상 진료·약제 월지원 & 지역별 참여방법 2025
2025.08.29 - [분류 전체 보기] - 경기도 농어민 기회소득 완벽 가이드 2025|청년·귀농·환경 농어민 월 15만 원, 일반 5만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