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초중고 교육비 지원사업(고교학비 지원) 총정리
핵심 한 줄 형편이 어려운 학생의 교육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국가·시도교육청이 입학금·수업료·학교운영지원비를 면제하거나 감면하고, 방과 후 활동과 교육정보화를 지원합니다.
아래 안내를 따라가면 온라인 원클릭 신청부터 결과 통지, 이의신청, 지급까지 막힘없이 진행할 수 있습니다.
🎯 1) 지원대상·제외대상
- 지원대상(요지) : 초·중·고 재학생 중 저소득층 수급 자격이 있거나 가구 소득인정액이 시·도교육청 기준에 해당하는 학생, 또는 학교장 추천으로 경제적 곤란이 인정된 학생, 법무부장관 추천 난민 인정자·그 자녀.
- 유형 예시 : 생계급여·의료급여·주거급여·교육급여 수급자, 차상위자활·장애수당·장애연금·차상위계층 확인서 발급 대상자, 한부모가족보호대상자(법정한부모) 등.
🧩 2) 선정기준(소득·학교장추천·기타)
- 저소득층 자격 : 학생 또는 가구원 중 1인 이상이 위 열거한 수급·차상위 자격을 보유하면 원칙적으로 지원 대상. 외국인 등록번호 부여 시에도 신청 가능합니다.
- 소득인정액 기준 : 시·도교육청이 정한 기준(교육급여 기준 등)에 해당하는 가구.
- 학교장 추천 : 소득·재산 조사 후 탈락하였으나 갑작스런 실직·질병·재난 등으로 교육비 지원이 필요할 때, 학생복지심사위 심의를 거쳐 교장 추천으로 선정.
- 기타 : 법무부장관이 추천하는 난민 인정자 또는 그 자녀.
세부 기준·증빙 목록·지급 주기는 시·도교육청 사업지침과 예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학교 행정실·담당교사와 반드시 교차 확인하세요.
💰 3) 지원항목·금액 개요
학교급 | 지원 항목 | 지원 방식 | 비고 |
---|---|---|---|
고등학교 | 입학금·수업료·학교운영지원비 | 납부 면제·감면(학교 회계 처리) | 학교별 고지 기준에 따라 감면율 상이 |
초·중·고 | 방과후 활동 지원 | 이용권 지급 또는 수업료 감면 | 학교·교육청 지침에 따름 |
초·중·고 | 교육정보화 지원 | PC·인터넷 설치·이용료 지원 | 정보소외 예방 목적 |
지원금은 현금 수령이 아닌 학교 회계 또는 바우처 중심으로 처리됩니다. 학부모 고지서의 실납부액을 꼭 확인하세요.
🧭 4) 신청방법(복지로·교육비원클릭)·경로
- 현장 접수 : 거주지 행정복지센터 방문 접수.
- 온라인 : 복지로 또는 교육비 원클릭 신청 시스템에서 가능.
- 복지로 경로 : 복지로 로그인 → 서비스 신청 → 복지서비스 신청 → 복지급여 신청 → 아동청소년 → 교육비지원.
제출서류(예시)
- 보호자 신분증, 주민등록등본, 가족관계증명서
- 저소득·차상위·한부모 등 자격 확인서류
- 학교장 추천 사유서(필요 시), 재난·질병 등 입증자료
🔎 5) 처리절차(신청→심사→확정→지급)
- 초기 상담 및 서비스 신청 : 읍면동·복지로·원클릭에서 접수.
- 대상자 통합조사 및 심사 : 시군구·교육지원청이 소득·가구·학교 재학 여부를 확인.
- 대상자 확정 : 학교에서 지원대상 확정·감면 반영.
- 서비스 지원 : 교육청에서 대상자에게 이용권 지급 또는 학교 회계에 감면 반영.
- 사후 관리 : 전출입·휴학·자퇴·소득변동 발생 시 변경 신고.
학기 초·예산 마감기에는 처리량 증가로 지연될 수 있습니다. 고지서 납부기한과 결과 통지일을 캘린더에 꼭 기록하세요.
☎️ 6) 전화문의·관련 사이트·법령
대표 문의
- 서울특별시교육청 02-1396
- 대전광역시교육청 042-616-8802~3,5
- 울산광역시교육청 1588-9496
-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033-259-0883
- 교육비 원클릭 상담센터 1544-9654
시·도교육청 상세 연락처
- 부산교육청 교육정보화담당 051-860-0764
- 세종시교육청 044-320-3313
- 전남교육청 061-260-0076
- 경남교육청 055-210-5179
- 충남교육청(교육정보화) 041-640-6933
- 인천광역시교육청 032-420-8445
- 전북교육청(교육비·교육정보화) 063-239-3364
- 충북교육청(교육정보화) 043-290-2888
- 제주교육청(교육급여·고교학비) 064-710-0604
- 경기도교육청 교육정보화 담당자 031-820-0554
- 경북교육청(고교학비·교육급여) 054-805-3806
- 광주광역시교육청(교육급여·교육비) 062-380-4010~4011
- 대구광역시교육청 053-231-0752
- 서울·원클릭 통합문의 1544-9654
- ※ 번호는 각 기관 공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7) Q&A
Q1. 학교에서 일부 장학금을 받는데 교육비 지원도 중복 가능할까요?
A. 동일 항목의 이중지원은 제한됩니다. 장학회·기관의 지원 항목이 수업료와 겹친다면 감면액이 조정되거나 제외될 수 있습니다. 학교 행정실에서 중복 여부를 먼저 확인하세요.
Q2. 온라인 ‘교육비 원클릭’과 ‘복지로’ 중 어디로 신청하는 게 빠른가요?
A. 두 경로 모두 접수 가능하며 지역·학교별로 처리 체계가 다릅니다. 원클릭은 교육청 연계가 용이하고, 복지로는 가구 복지정보를 함께 확인하기 편리합니다. 중복 접수는 피하고 한 경로로 일관되게 제출하세요.
Q3. 학기 중 전학을 가면 지원은 자동 승계되나요?
A. 자동 승계가 안 되거나 지연되는 사례가 있습니다. 전출·전입 즉시 학교와 교육지원청에 변경 신고를 하고, 원클릭·복지로에서도 정보 갱신을 요청하세요.
Q4. 소득이 조금 올라 기준을 약간 초과했습니다. 학교장 추천으로 받을 수 있나요?
A. 가능성이 있습니다. 소득조사 탈락 후에도 학교장 추천과 심의를 통해 긴급·일시적 곤란이 인정되면 지원될 수 있습니다. 증빙자료를 구체적으로 준비하세요.
Q5. 방과후 이용권은 현금으로 바꿀 수 있나요?
A. 불가합니다. 방과 후 지원은 지정 프로그램·수업료에만 사용할 수 있으며, 현금화·양도는 제한됩니다.
Q6. PC·인터넷 지원 설치는 모든 학생이 가능한가요?
A. 정보화 지원은 우선순위·예산 범위 내에서 제공됩니다. 동일 가구 내 기존 장비 보유, 통신요금 감면 등과의 중복성을 고려해 선정하므로, 담당 부서 안내를 따르세요.
Q7. 처리기간은 어느 정도 걸리나요?
A. 통상 수주 내이나 학기 초·집중 접수기에는 더 소요될 수 있습니다. 고지서 마감일보다 여유 있게 최소 2~3주 전 신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