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기준 중위소득 6.51% 인상 총정리
본 포스팅은 보건복지부 보도자료(‘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 6.51% 역대 최대 인상’, ’25.7.31.) 및 공개 안내자료를 바탕으로 정리했습니다. 실제 사업 집행은 고시·지침 및 지자체 공고에 따릅니다.
📑 목차
1) 기준 중위소득이란?
‘기준 중위소득’은 우리나라 가구소득의 중간값을 말하며, 기초생활보장과 각종 복지사업의 수급자 선정 기준으로 쓰입니다. 정부는 매년 중앙생활보장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 다음 해의 기준 중위소득을 고시합니다. 가구의 근로·사업·재산·이전소득을 합산한 경상소득의 중간값을 기초로 하되, 최근 가구소득 평균 증가율과 가구 규모에 따른 소득수준 차이를 반영해 가구원 수별로 산정합니다.
2026년에는 4인 가구 기준 6.51% 인상되어 역대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1인 가구는 7.20% 인상되어 보호 범위가 더 넓어졌습니다.
2) 2026년 기준 중위소득(월 기준)
※ 표 숫자는 보도자료 도표(가구원 수별 ’26년 중위소득) 표기를 그대로 읽기 쉬운 형식으로 재배열했습니다.
3) 급여별 선정 비율
기준 중위소득의 32%
기준 중위소득의 40%
기준 중위소득의 48%
기준 중위소득의 50%
급여별 선정 기준은 ’25년에 이어 ’26년에도 동일한 비율(생계 32%, 의료 40%, 주거 48%, 교육 50%)이 적용됩니다.
4) 2026년 급여별 선정 기준 금액표(월)
※ 일부 표기값은 캡처 자료 기준 반올림/자리표기 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최종 신청 전 관할 시·군·구 또는 복지로/보건복지상담센터 확인 권장.
5) 무엇이 달라지나 — 체감 포인트
- 대상 확대: 중위소득 상향으로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입구가 넓어짐. 특히 1인 가구 인상폭(7.2%)이 커 취약 1인가구 보호가 강화됩니다.
- 경계선 가구 구제: 2025년 기준에서 소폭 초과해 탈락했던 가구의 상당수는 2026년에 재산정 시 재진입 가능성이 높습니다.
- 지방 추가지원 촉진: 중앙 기준 상향은 지자체 자체급여·감면의 연쇄 조정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6) 신청 흐름과 체크리스트
거주지 동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 또는 복지로 상담 → 가구원 수·소득·재산 기준 1차 검토
근로·사업·이전소득 및 금융·자동차·부동산 재산 파악, 부양의무자 기준은 급여별로 상이
급여별 적합 여부 결정 및 통지 → 부적합 시 이의신청 가능
- 필수 준비: 주민등록등본, 가족관계증명서, 임대차계약서, 소득입증서류(급여명세/사업소득), 금융·부채증빙 등
- 계산 팁: 가구원 수와 기준 중위소득 대비 비율 두 가지만 기억하면 1차 자격 판단이 쉽습니다.
7) 자주 묻는 질문(Q&A)
Q1. 중위소득이 올랐는데 실제 지원금도 자동 인상되나요?
A. 선정 기준 상향으로 대상과 급여산식의 기초값이 커져 결과적으로 지원액이 늘 가능성이 큽니다. 다만 급여별 산정방식·가구 상황에 따라 인상 폭은 다릅니다.
Q2. 1인가구는 왜 7.2%로 더 많이 올랐나요?
A. 고립·주거비 부담 등 1인가구 특성을 반영한 조정 결과입니다. 취약 1인가구 보호 강화가 정책 목표 중 하나입니다.
Q3. 재산이 있어도 생계급여 가능할까요?
A. 금융·부동산·자동차 등을 재산의 소득환산액으로 전환해 소득인정액을 계산합니다. 지역·주택유형·부채 등에 따라 달라지므로 센터에서 모의산정 받는 것이 정확합니다.
Q4. 내 가구가 해당되는지 간단히 보는 법은?
A. 가구원 수별 ‘기준 중위소득 금액’과 급여별 비율(32·40·48·50%)을 곱해 본인의 소득인정액과 비교하세요. 근로소득 공제·장애·한부모·노인 가구 가산 등 예외가 있으니 상담을 권합니다.
Q5. 표 숫자랑 안내문이 조금 다른데 왜 그런가요?
A. 반올림/절사, 표기 자리수 차이 때문입니다. 최종 집행은 복지부 고시·지자체 공고와 전산 산식에 따릅니다.
8) 같이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