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숙아·선천성이상아 의료비 지원 | 대상·지원금·신청방법 총정리
신생아 시기의 고위험 의료비 부담을 낮추기 위해 미숙아와 선천성이상아의 수술·치료비를 지원합니다. 본문에서 대상 기준, 지원금액(미숙아 최대 1,000만 원/선천성이상아 최대 500만 원), 신청기한, 신청절차·서류, 제외 항목, FAQ·문의처까지 한 번에 확인하세요.
1) 제도 한눈에 보기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영유아 의료비 지원으로, NICU 입원 미숙아 및 선천성이상 치료·수술이 필요한 영아의 수술·치료비 일부를 현금으로 지원합니다. 가계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건강한 성장 발달을 돕는 것이 목적입니다.
2) 지원대상(요약)
① 미숙아
- 출생 후 24시간 이내 NICU에 입원한 미숙아
- 부득이한 사유로 24시간 내 NICU 입원은 못했더라도, 의료기관 확인 시 지원 가능
② 선천성이상아
- 출생 후 2년 이내 선천성이상(Q코드) 진단 및 치료·교정을 위해 2년 이내 입원·수술한 경우
- 임상적 추정으로 먼저 수술 후 최종 진단이 동일하게 확정된 경우 지원 가능
- 수술이 2회 이상일 때는 최종 수술 종료 후 일괄 신청
3) 지원금액·범위
| 구분 | 지원 내용 | 지원 한도 |
|---|---|---|
| 미숙아 | NICU 입원 치료·수술비 | 체중별 산정, 최고 1,000만원 |
| 선천성이상아 | 진단·치료 목적의 입원 수술비 | 최고 500만원 |
※ 외모개선 목적 등 치료 목적이 아닌 수술은 제외됩니다.
4) 신청방법·기한·예외
- 대상 영아의 부모가 최종 퇴원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신청
- 관할 보건소 방문 또는 공공보건포털 e보건소, 아이맘즈앱을 통한 온라인 신청 가능
- 부득이한 사유로 6개월 내 신청이 곤란하면, 보건소장이 인정 시 예산 범위 내 지원 가능
- 퇴원 전 의료비(중간정산) 신청은 청구금액이 지원한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가능
5) 지원 제외 항목(요약)
- 외래 및 재활치료, 이송비, 제증명서 발급비, 병실입원료, 보호자 식대 등 치료와 직접 관련 없는 비용
- 예방접종비(치료 목적 포함 시 의료기관 확인 후 지원 가능)
- 외국 의료기관 진료비, 간이영수증으로 발급된 의료비 또는 개인이 직접 구입한 소모품
- 코성형 등 외모개선 목적의 수술, 간이영수증 중 검사비·처치·첫 수술료 등은 의료기관 확인 후 지원 가능
6) 자주 묻는 질문(FAQ)
Q1. NICU에 24시간 내 입원 못했어요. 신청이 불가한가요?
A. 의료기관의 사유 확인이 가능하면 예외 인정되어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Q2. 선천성이상 수술을 두 번 했습니다. 각각 신청하나요?
A. 원칙적으로 최종 수술 종료 후 일괄 신청합니다.
Q3. 영수증이 간이영수증인데 제출 가능합니까?
A. 보조금 정산상 간이영수증은 불인정입니다. 반드시 요양기관 발급 정식 영수증을 준비하세요.
Q4. 지원금은 어디로 지급되나요?
A. 심사 후 보호자 계좌로 현금 지급됩니다. 서류 미비 시 보완 요청이 있을 수 있습니다.
7) 실제사례
사례 A | 34주 미숙아 — 출생 직후 NICU 입원, 치료비가 고액으로 발생. 퇴원 후 3개월 내 관할 보건소에 신청해 체중 기준으로 산정된 금액을 지원받아 가계 부담을 크게 낮춤.
사례 B | 선천성 심기형 — 생후 4개월 심장수술 포함 2회 입·수술 후 최종 수술 종료 시점에 일괄 신청, 진단·치료 목적 비용만 인정되어 한도 내 지원 완료.
8) 문의처·관련 사이트
- 보건복지부 콜센터 : 129
- 공공보건포털 e보건소 : www.e-health.go.kr
- 보건복지부 콜센터 : www.129.go.kr
9) 📍 가까운 보건소 찾기
10) 추가 Q&A
Q. 건강보험 본인부담경감이나 타 지원과 중복되나요?
A. 동일 비용에 대한 중복 보조는 제한될 수 있습니다. 정산 시 타 급여·지원금과의 중복 여부를 확인합니다.
Q. 신청 시 꼭 필요한 서류는?
A. 신청서, 신분증, 출생증명/가족관계증명, 진단서·수술확인서, 정식 영수증 및 세부산정내역서, 통장사본 등이 일반적입니다.
Q. 미숙아 체중은 언제 기준인가요?
A. 통상 출생체중을 기준으로 하나, 지자체 지침에 따라 상이할 수 있어 접수기관에서 확인하세요.
같이 보면 좋은 글
2025.09.05 - [분류 전체 보기] - 첫 만남이용권 총정리 2025|첫째 200만 원·둘째 이상 300만 원 받는 법(신청·사용·현금 예외)
2025.08.31 - [분류 전체 보기] - 아동용품 구입비 지원 완전정복|대상·금액 100만 원·신청서류·Q&A
2025.09.06 - [분류 전체 보기] - 청소년산모 임신·출산 의료비 지원 총정리|만 19세 이하 120만 원 바우처 신청·사용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