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훈요양원 이용지원 완전정리 2025: 대상·감면율 40~80%·신청방법·연락처
보훈요양원 이용지원 총정리
(지원대상·감면율·신청방법·연락처)
장기요양이 필요한 국가유공자 등 보훈대상자가 보훈요양원을 이용할 때 발생하는 본인부담금의 일부(40~80%)를 감면·지원해 주는 제도입니다. 본문에서 제도의 취지, 지원범위, 신청 단계, 준비서류, 유의사항까지 빠짐없이 정리했습니다.
1) 제도 개요·핵심 포인트
보훈요양원 이용지원은 보훈대상자가 국가보훈부가 지정한 보훈요양원(시설·재가)을 이용할 때 발생하는 본인부담금의 일부를 40~80%까지 감면·지원하는 제도입니다. 경제적 부담을 줄여 안정적인 요양서비스 이용을 돕는 것이 목적입니다.
- 담당부처: 국가보훈부 복지서비스과
- 지원주기: 월 (월별 이용분 기준으로 감면·정산)
- 제공유형: 감면, 시설입소 중심
2) 지원대상(누가 받을 수 있나)
다음에 해당하는 보훈대상자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독립유공자·국가유공자·5·18민주유공자·특수임무유공자 본인 및 배우자, 유족 중 부모(선순위)
- 고엽제후유의증환자 중 장애등급판정자 및 참전유공자 본인
※ 위 범위 안에서도 소득·부양의무 충족 여부에 따라 감면율·지원 가능 여부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3) 선정기준(소득·부양의무)
보훈요양원 입소자 중에서 생활이 곤란한 분을 대상으로 합니다. 핵심은 아래 두 가지입니다.
- 소득기준: 소득 인정액이 가구당 기준소득 100% (예: 4인 가구 5,729,913원) 이하이며 부양의무자가 없거나, 있어도 부양능력이 없다고 인정되는 경우
- 확대기준: 소득 인정액이 가구당 기준소득 200% (4인 가구 11,459,826원) 이하인 경우도 생활 곤란 인정 시 지원 가능
※ 단, 의료급여수급권자, 본인부담금 감경대상자, 독립유공자 및 배우자, 1급 상이 등은 별도 예외·우선 기준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4) 서비스 내용(감면율·제외항목)
보훈요양원 이용에 따른 본인부담금 일부(40~80%)를 감면합니다. 품목에 따라 비급여는 제외되며, 감면율은 대상 군에 따라 다릅니다.
구분 | 감면율(지원율) | 비고 |
---|---|---|
독립유공자·상이 유공자 | 80% | 의료급여자·본인부담금감경대상자·생활곤란자 포함 |
비상이 유공자·배우자·유족(부모, 선순위) | 60% | 해당 범주 인정자 |
고엽제후유의증환자·참전유공자(본인) | 60% | 장애등급판정자 포함 |
생활곤란자 | 40% | 소득 기준 충족자 |
5) 신청방법·준비서류·진행흐름
보훈요양원으로 직접 입소 신청합니다. 최초 상담 시 자격 확인과 대기 현황을 함께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 준비서류 예시: 신분증, 유공자(보훈) 확인서류, 소득 확인자료(건강보험 납부확인·급여명세 등), 통장사본, 장기요양 등급 관련 서류(해당 시)
- 진행흐름: 상담 → 자격·소득·부양 확인 → 입소대기/배정 → 월별 이용분 감면·정산
- 처리기간: 지역·대기현황에 따라 상이(평균 수주)
- 유의사항: 동일 가구 내 다른 지원과의 중복 여부, 비급여 항목, 보호자 부담분을 미리 확인하세요.
6) 전화문의·관련 웹사이트
- 수원보훈요양원 031-240-9000
- 대구보훈요양원 053-606-3000
- 광주보훈요양원 062-602-5800
- 김해보훈요양원 055-340-8585
- 전주보훈요양원 063-220-0777
- 국가보훈부 상담센터 1577-0606
- 남양주보훈요양원 031-579-7000
- 원주보훈요양원 033-769-2000
- 대전보훈요양원 042-829-3000
- 수원보훈요양원 suwon.bohun.or.kr
- 대구보훈요양원 dgcare.bohun.or.kr
- 광주보훈요양원 gjcare.bohun.or.kr
- 김해보훈요양원 ghcare.bohun.or.kr
- 전주보훈요양원 jjcare.bohun.or.kr
- 국가보훈부 상담센터 www.mpva.go.kr
- 남양주보훈요양원 nyjcare.bohun.or.kr
- 원주보훈요양원 wjcare.bohun.or.kr
- 대전보훈요양원 djcare.bohun.or.kr
7) 자주 묻는 질문 Q&A
Q1. 비급여(식재료·간식비·상급 침 실료 등)도 감면되나요?
A. 아니요. 비급여는 제외입니다. 급여 항목의 본인부담금만 감면됩니다.
Q2. 소득이 기준보다 약간 초과합니다. 지원이 전부 불가한가요?
A. 200% 이하 구간은 생활 곤란으로 인정되면 일부 지원이 가능합니다. 상담 시 증빙을 준비하세요.
Q3. 가족이 대신 신청할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위임장·가족관계증명 등 추가서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Q4. 감면은 언제 반영되나요?
A. 보통 월 단위 정산으로 반영됩니다. 지역·기관별 일정은 다를 수 있습니다.
Q5. 보훈요양원 대기가 길면 어떻게 하나요?
A. 인근 타 지역 요양원과 동시 문의를 권장합니다. 상단의 연락처·링크를 활용하세요.